(...) 뿐만 아니라 이런 지역 특산물과 향토적 기업들의 상품 개발이나 기술 향상, 디자인 개선과 마케팅, R&D 등을 담당하면서 농산물이나 그 가공품, 공예품 등을 업그레이드하는 측면의 지원 기관 담당자들을 만나 보았다.
(...) 오늘날 농산물조차도 광범한 불신으로 인해 생산자의 얼굴을 알 수 없는 것은 물론이고 원산지나 품질 등을 믿지 못하는 시대가 되었다.
이런 불신의 사회를 신뢰의 사회로 만들어 가는 중요한 유통 기업...
9. 우리에게 가장 절박한 것은 기업가 정신이다. 기업이 어느 누구의 전유물이 아니고 우리 모두가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나는 소기업이 들꽃처럼 피어나고 강물처럼 흐르는 날이 와야하고 오리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것은 바로 지역과 마을에서 시작되어야 하고 될 것이라고 믿는다.
24. 이러한 상황에서 옛날 방식 그대로 복원한 태안자염을 상품화 할 수밖에 없었던 데에는 역사학자들의 권고가 큰 작용을 했다. 역사학자들은 "자염을 가장 잘 아는 당신들이 상품을 만들지 않으면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사람들이 만들 것이고 그러면 태안의 고유한 생활문화인 자염은 변질될 것이다"라고 했던 것이다. 그래서 소금 굽는 사람들은 태안자염을 상품으로 생산하기 시작했던 것이다.
그를 만나고 나는 지역의 역사, 문화, 환경 등이 매우 소중하다는 것을 더욱 절실히 느꼈다. 이들처럼 소중한 유산을 찾아서 지키고 계승하는 게 중요하다. 그는 말미에 젊은 사람이 지역에 없어서 더 고민이라고 했다. 지역의 진정한 정통 문화가 남아 있더라도 이를 계승할 젊은 세대가 없다면 계승조차 어려운 게 아닌가 싶다.
30. 상인들은 돌미역 해심을 한동안 구매하다가 일정한 기간이 되면 발을 끊어 버렸다. 주민들에게 자금이 필요해질 때쯤 상인들은 다시 나타나 헐값에 상품을 구매하는 수법을 매년 썼다. 자금의 압박을 받을 수밖에 없는 주민들만 답답한 상황이었다. 몇 해 전에 대구의 황금물산도 그렇게 다가왔다. 그러나 그는 고급 브랜드 해심의 값어치와 군청의 지원, 미역 가공 체험 시설을 황금물산 담당자에게 보여 주면서 설득했고 높은 가격으로 돌미역 해심을 판매할 수 있었다. 사진3리에서 상인보다 더 값나가게 돌미역 해심을 판매할 수 있도록 가격을 질정하게 유지하니 돌미역을 생산하는 이웃 마을도 덕을 보았다.
'만나다 >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84. 당신도 베스트셀러 작가가 될 수 있다. 앨리슨 베이버스톡 (0) | 2014.08.27 |
---|---|
#1083. 마을에서 희망을 만나다, 행복을 일구는 사람들 이야기. 박원순 (0) | 2014.08.27 |
#1081. 좋은 문장 나쁜 문장. 송준호. 다시 읽기. (0) | 2014.08.26 |
#1080. 고민하는 힘. 강상중_세상을 뚫어내는 힘 (0) | 2014.08.26 |
#1079. 이상한 나라의 정치학. 이원재 _ 우리는 왜 여전히 불행하다고 생각할까 (0) | 2014.08.20 |